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사회37

거래량이 적은 주식은 피해야 하는 이유(feat.주가조작단 사태) 거래량이 적은 주식은 피해야 하는 이유(feat.주가조작단 사태) 최근 가수 임창정, 박혜경 등이 거론되는 1조 규모의 주가조작단 사태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가폭락이 일어난 종목들의 공통점 중 하나가 바로 적은 거래량입니다. 거래량이 적은 주식은 피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반대매매의 리스크 이번 주가조작 사태를 통해서 다우데이타로부터 시작된 신용매수의 레버리지의 리스크가 폭탄처럼 터진 이유 중 하나가 바로 거래량이 적은 경우 반대매매의 리스크가 크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서 삼성전자나 현대차처럼 시가총액이 크고 일정 수준의 일거래량이 발생을 해야 예를 들어 기관이나 외국인, 또는 제3의 세력이 급하게 대량으로 매도를 하더라도 하락폭이 커지겠지만 물량을 흡수하고 지탱해줄 수가 있습니.. 2023. 4. 28.
비덴트와 관계사의 감사의견거절과 거래정지,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비덴트와 관계사의 감사의견거절과 거래정지,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코스닥 상장사 비덴트의 거래정지 사태가 3월 31일 일어났습니다. 거래정지로 인해서 상장폐지 우려 등 투자자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비덴트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서 간략하게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비덴트의 거래정지 이유 비덴트에 대한 불길한 시그널은 이미 거래정지 전부터 감지되었습니다. 3월 31일 정기주주총회를 진행하였는데 법적으로 2022년 감사보고서와 감사보고서가 최소 1주일 전에는 공시되어야 하는데 지연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과거 포스팅에서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감사보고서의 제출이 늦어진다면 50% 확률로 회사에 심각한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것이며 거래정지 및 상장폐지 위험도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하게 됩니.. 2023. 4. 11.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되면 어떻게 될까? 내 투자종목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되면 어떻게 될까? 어느날 날벼락처럼 나의 보유종목의 전자공시에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사유발생이라는 공시가 뜨고 거래정지가 되는 경험을 하게될 수 있습니다. 제가 실제로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런 경우 어떠한 흐름으로 사태가 진행되고 마무리되는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상장폐지 실질심사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우선 용어에 대해서 한 번 정리가 필요합니다. 상장폐지 실질심사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에 대해서 두개가 다른 개념인지 같은 개념인지 혼선이 생깁니다. 과거에는 상장폐지 실질심사라는 용어가 존재했는데 확인 결과 쉽게 말해서 용어 자체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로 변경되었습니다. 현재 언론에서도 이 두가지의 용어를 혼재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정확히 확인해봤.. 2023. 3. 27.
상장폐지 후 정리매매 방법과 정매꾼들의 세계 상장폐지 후 정리매매 방법과 정매꾼들의 세계 상장폐지가 되는 것도 예전보다 쉽지 않지만 여전히 상장폐지가 되어 정리매매가 이뤄지는 종목이 연간 수십개가 됩니다. 상장폐지가 결정된 이후의 정리매매 방법과 최악의 상황에서도 활개를 치는 정매꾼들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1.상장폐지와 정리매매 과정 일단 상장폐지가 최종 결정되면 무조건 정리매매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텐데 상장폐지가 된다는 것이 무조건 문제가 있어서 소위 말하는 주식이 휴지조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위에서 예시로 가져온 2022년의 상장폐지종목 리스트에서 보시는 것처럼 우회상장을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증권사의 스펙종목들이 마땅한 회사를 찾지못해서 사라지기도 하고 반대로 우회상장 회사를 찾은 후 피흡수합병으로.. 2023. 3. 19.